생활과 지혜

추석 지내기

서병길 2012. 9. 25. 11:15

추석 상 차리기


차례상 차리기


1 열 : 시접, 잔반, 메(밥)

2 열 : 어동육서(漁東肉西)

3 열 : 탕류

4 열 : 좌포우혜(左鮑右醯)

5 열 : 조율이시(棗栗梨枾)

홍동백서(紅東白西)

[추석 차례상 차림법]
1열 : 시접(숟가락 담는 대접), 잔반(술잔, 받침대)을 놓고 메를 올린다.
2열 : 어동육서(魚東肉西) - 생선의 머리는 오른쪽을 향하게 한다.
3열 : 고기탕, 생선탕, 두부탕 등의 탕류를 놓는다.
4열 : 좌포우혜(左鮑右醯) - 왼쪽에 포, 오른쪽에 식혜
5열 : 조율이시(棗栗梨枾) - 왼쪽부터 대추, 배 등의 과일과 약과, 강정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 과일은 오른쪽
※ 차례상 준비시 유의점
· 복숭아와 삼치,칼치,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든 것은 쓰지 않는다.
· 고춧가루와 마늘양념을 하지 않는다... 더보기
[관련정보]
· 차례 정보 : 차례란?, 차례 순서, 차례 음식의 의미, 제수용품 고르기
· 한복 입는 방법 : 남자 한복입는 법, 여자 한복입는 법
· 절하는 법 : 남자 절하는 법, 여자 절하는 법

음식 장만 '초보탈출' 프로젝트

올해 갓 결혼한 주부 이현주씨(30)는 다가오는 추석이 두렵다. 처음으로 친정이 아닌 시댁에서 명절을 맞는 것이기도 하고 할줄 아는 명절음식도 없기 때문이다. 주부경력 10년차 홍경옥, 백상아씨가 살림비법을 풀어낸 '돈되는 e짠순이 절약테크 따라잡기(영진닷컴)'에서 처음으로 명절을 맞는 신세대 주부들을 위해 음식장만 노하우를 공개했다.

▶초스피드 전 부치기

차례음식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전'. 그러나 주 재료 손질에 밀가루를 묻히고, 계란 옷까지 입혀 부치기 때문에 손이 많이 간다. 이럴 땐 계란옷과 밀가루 옷을 합쳐보자. 소금간을 알맞게 한 후 계란을 노른자와 흰자가

잘 섞이도록 풀어준 다음, 계란의 1/2~1/3분량의 밀가루를 섞어준다. 여기에 동태 등의 재료를 담궜다가 달궈진 프라이팬에 부치면 끝난다. 시간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 왕 간단 동그랑땡

각종 야채와 고기를 다져 만드는 동그랑땡은 전과 마찬가지로 한입크기로 떼어내 계란옷과 밀가루 옷을 차례로 입혀 부쳐야 한다. 그러나 동그랑땡 반죽에 밀가루와 계란을 직접 넣어 섞은 뒤 숟가락으로 한 수저씩 떠서 달궈진

프라이팬에 지지면 조리과정과 시간을 30% 절약할 수 있다. 섞인 계란과

밀가루는 다진 고기와 야채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해준다.

▶ 열명 일손 안 부러운 부채뒤집개

명절음식은 맛도 맛이지만 모양도 중요하다. 명절에 많이 먹는 전과 동그랑땡, 부침개 등은 뒤집어 익힐 때 특히 조심해야 한다. 기존 조리기구를 이용해 뒤집다 보면 시간도 많이 걸릴뿐더러 자칫 속도가 늦어 골고루 익히기가 쉽지 않다. 이럴 때 부채를 이용한 넓은 뒤집개를 사용해보자. 부채에 호일을 감싸기만 하면 끝. 한꺼번에 많은 양을 뒤집을 수 있어 시간절약뿐 아니라 모양유지에도 그만이다.

▶ 기름기를 몽땅 흡수해버리는 신문지 앞치마


하루 종일 음식장만을 하다보면 기름이 여기저기 튀어 옷을 버리기 일쑤다. 앞치마를 해도 기름때가 잘 빠지지 않아 얼룩이 그대로 남아 있다. 이럴 때 기름기 흡수가 뛰어난 신문지 앞치마를 이용하면 좋다. 신문지 앞치마는

직사각형 신문지를 긴 쪽으로 1/4접고, 가로로 반 접는다. 모서리 부분을

둥글게 잘라내고 구멍난 부위에 머리를 넣어 착용하면 된다. 신문지의

면적만큼 몸을 커버해줘 옷과 몸에 기름이 튀지 않는다. 신문지의 휘발성

냄새로 옷에 기름냄새도 배지 않는다.

/김지혜기자

지방쓰기

한문으로 지방을 쓸 때에는 여러 가지 규칙이 있다. 남자의 지방을 쓸 때에 벼슬이 없으면 학생(學生)을 쓰고 벼슬이 있으면 그 관직을 그대로 쓴다.

남자 지방의 고(考)는 부(父)와 동일한 뜻으로 살아생전에는 부라 하고 사후에는 고라 한다.


여자의 경우는 유인(孺人)이라 쓰며 그 다음에 본관성씨를 쓰게 된다.

여자지방의 비(妣)는 모(母)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모라 하며

사후에는 비라 한다.
만약 재취로 인하여 삼위의 지방을 모실 때에는 왼쪽에 남자 지방을,

가운데에 본비의 지방을, 오른쪽에 재취비의 지방을 모시게 된다.

지방쓰기 예시


- 평민으로 사신 부(父)의 지방 : 현고학생부군신위(顯- 평민으로

사신 모(母)의 지방 : 현비유인000씨신위(顯비孺人OOOO씨 神位)
- 평민으로 사신 조부(祖父)의 지방 : 현조고학생부군신위
- 평민으로 사신 조부(祖母)의 지방 : 현조비유인000씨신위
考學生府君神位)

차례상 차리기


다음은 우리나라 향교에서 권하는 차례상 차리는 법입니다. house03_blueroof.gif red2_b3.gif

홍동백서 상차림 보기

    차례상 차리기

    ---------------------------------------


    다음은 우리나라 향교에서 권하는 차례상 차리는 법입니다.




    ☞ 홍동백서 상차림 보기


    과일을 놓는 줄 (그림의 1번 줄)


    조율이시라하여 좌측부터 대추, 밤, 배(사과), 감(곶감)의 순서로 차리며

    그 이외의 과일들은 정해진 순서가 따로 없으나 나무 과일, 넝쿨과일

    순으로 차린다. 과일 줄의 끝에는 과자(유과)류를 놓는다.


    반찬을 놓는 줄(그림의 2번 줄)


    좌포우혜라하여 좌측 끝에는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를 쓰며

    우측 끝에는 수정과를 쓴다. 그 중간에 나물반찬은 콩나물, 숙주나물,

    무나물 순으로 올리고, 고사리, 도라지나물등을 쓰기도 하며 청장(간장)

    침채(동치미, 설명절)는 그다음에 올린다.


    탕을 놓는 줄(그림의 3번 줄)


    대개는 3탕으로 육탕(육류 탕), 소탕(두부 채소류 탕),

    어탕(어패류 탕)의 순으로 올리며, 5탕으로 할 때는 봉탕(닭 오리탕),

    잡탕등을 더 올린다. 최근들어 한가지 탕으로 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적과 전을 놓는 줄(그림의 4번 줄)


    대개는 3적으로 육적(육류 적), 어적(어패류 적),

    소적(두부 채소류 적)의 순서로 올린다.

    * 적 : 생선이나 고기를 대꼬챙이에 꿰어서 양념하여 구운 음식.

    * 전 : 재료에 밀가루를 뭍혀서 번철에 지진 음식(부침개).

    술잔과 떡국(설), 송편(추석)을 놓는 줄(그림의 5번 줄);


    앞에서 보아 떡국(송편)은 우측에 술잔은 좌측에 차린다.

    그림은 양위를 모시는 모습. 시접(수저와 대접)은 단위제의 경우에

    앞에서 보아 왼쪽에 올리며, 양위합제의 경우에는 중간 부분에 올린다.

    향로 향합등

    향상에는 축문, 향로, 향합을 올려 놓으며 그 밑에 모사그릇, 퇴주그릇,

    제주(술)등을 놓는다.

    차례상 진설의 한문어구



    좌포우혜; 좌측에는 포, 우측에는 식혜를 놓는다.

    어동육서; 동쪽(앞에서 보아 우측)에는 어류, 서쪽에는 육류를 놓는다.

    동두서미; 생선의 머리가 동쪽으로 꼬리가 서쪽으로 향하게 놓는다.

    홍동백서; 붉은 과일은 동쪽, 흰색은 서쪽으로 놓는다.

    조율이시; 좌측부터 대추, 밤, 배, 감의 순서로 올린다.

    (조율시이도 가능) 차례음식 조리할 때



    조리하기전 몸 가짐을 단정히 하여 정갈하게 조리를 합니다.

    차례에 쓰지 않는 음식; 복숭아, 꽁치, 삼치, 칼치, 고추,

    마늘 등 식혜, 탕, 면 등은 건데기만 사용합니다.

    설 차례는 메 대신 떡국을, 추석차례는 메 대신 송편을 올립니다.



    --------------------------------


    차례 지내는 순서

    -----------------------------------


    진설(進設)


    북쪽에 병풍을 치고 병풍앞에 신위를 모실 교의를 마련한 다음 식어도

    괜찮은 음식부터 제물을 차린다. 진설이 다되면 사진 혹은 미리 써둔

    지방을 교의의 신위함에 붙인다.

    (지방쓰기 참조)

    분향강신(焚香降神)


    제주는 꿇어 앉아 향을 살라 향로에 꽂고 재배한다. 왼쪽집사가

    제주에게 강신잔을 주면 오른쪽 집사가 술을 따른다.

    제주는 모사 그릇에 세번에 나누어 모두 따른다. 왼쪽집사가

    강신잔을 받아 오른쪽 집사에게 건네주어 제자리에 놓게한다.

    제주는 재배한다.

    참신(參神)


    제주와 참석자 모두 재배한다. 요즘은 여자도 재배를 하나 원래는 4배였다.

    진찬(進饌)


    주부가 설 차례에는 떡국을, 추석 차례에는 송편(혹은 메)을 제상에 올린다.

    헌다(獻茶)


    왼쪽집사로부터 잔을, 오른쪽 집사로 부터 술(또는 茶)을 받아, 먼조상

    남자조상 순으로 올린다. 기제사와 달리 한번만 올린다.

    계반개(啓飯蓋)


    주부나 집사가 떡국그릇의 뚜껑을 열고 적을 올린다.

    순서는 좌측부터 조부 조모순이다. 가정의례준칙에서는 제례는

    부모와 조부모등 2대 봉사만 하도록 권장하고있다.

    삽시(揷匙)


    주부나 집사가 시접에 담겨있는 숟가락을 떡국에 꽂고 젓가락은

    시접위에 가지런히 걸쳐 놓는다.

    젓가락의 손잡이는 서쪽(왼쪽)을 보게 놓는다.

    흔히 젓가락을 세번 굴리고 여기저기 제물위에 올려 놓기도 하지만

    시접위에 가지런히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주는 재배한다.

    사신(辭神)


    모든 참석자는 조상이 진지를 드는 동안(수분동안) 조용히 서서

    생전의 조상을 생각한다. 주부가 약한 기침을 하고 숟가락을

    거두어 시접에 담그고 젓가락은 시접아래 내려놓고 모두가 재배한다.

    신위는 제자리에 모시고 지방인 경우에는 향로위에서 사른다.

    음복(飮福)


    제물을 제상에서 거두고 옷을 입은 그대로 조상이 드시고 남은

    제물을 나누어 먹는것으로 차례는 끝난다.

추석음식의 의미



대 추


왕이 될만한 후손이 나오라는 뜻이다.
대추가 지니고 있는 깊은 의미를 아는 집안은 ("왕" "도인" "성현")이 나올 수 있다.

대추는 태양이 속해있는 대 은하계 모형을 나타낸 것이므로 진설상에 있어서 으뜸이다.




밤은 三 정승이 나오라는 의미이다. 그래서 밤은 3알이 한 밤송이가 된다.

가운데 있는 밤은 "영의정" 오른쪽에 있는 밤은 "우의정" 좌측에 있는 밤은

"좌의정" 이라는 의미가 되며 밤송이 1개(1석)속에 3톨(3극)에는 각기 특유의

기질을 가지는 5기가 들어 있으며 바로 그 五 氣는 인간의 성질을 나타낸다.
첫 째: 가시는 내유 외강의 성질(추진력)
둘 째: 껍질은 단단하고 강한 기질(방어력)
세 째: 껍질 속의 털은 포근함을 나타낸다.(보호력)
네 째: 속 껍질의 떫은맛은 인생살이의 떫은 맛(인내력)
다섯째: 속 알의 고소한 맛은 깨달음의 참 맛을 나타낸다.
(중화,깨달음)




감은 씨가 6개로 六조 판서의 서열을 의미한다.
집안에 육조판서 감이 나오는 정도를 점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씨가 6개인 것은

천부경의六생 七 八 九운의 육감세계를 나타낸 것으로 우리 몸의 물리적 몸의 작용

즉 오감세계를 벗어난 영적인 의미를 말한다.



사 과


사과는 자비, 사랑을 뜻하며 모양이 하트형으로 "사랑"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그 집안의 화목과 사랑의 정도를 알아보는 방법으로 쓰이기도 한다.
사과의 모양은 우주의 五기가 생성되어 돌아가는 모형이며 사랑하는 마음(+플러스)

발상 등이 영적 성장을 하는 의미이다.




배는 색깔이 황금색으로 깨달음 집안의 정신적인 성장정도를 알아보는 측도이다.

배는 수분이 많으며 이 수분은 지혜를 의미한다.
지혜로운 삶을 살아서 깨달음의 정신으로 가라는 뜻으로 황금색은 깨달음의

색 오행의 土에 해당하고 숫자로는 5,10, 土, 중앙, 중용, 완성의 뜻이 있다.



호 두


우리의 뇌를 의미한다.
호두는 지혜가 발달되고 영특하며 뛰어난 자손이 되라는 의미이다.
머리가 영특해야 깨달음에 이르고 깨달음에 밝아야 훌륭한 사람으로

성장할수 있기 때문이다.



다 식


다식은 우주의 五 行을 의미하고 그 다식의 문양은 五 氣의 작용을 도식화

시킨 것으로 가정의 가족간 합심. 이별, 파괴, 결합, 재물, 후손의 출산 등을

의미하고 이것이 작용하는 의미를 알아 보고자 꿀물에 재료를 버무려 가지고

다식을 찍는데 그때 잘 만들어 지는 것과 부서지는 것을 가지고 한해동안 집안의

운세를 점치는데 사용하게 했던 것이다.



은 행

<


은행은 비행접시 우주선을 의미한다.
앞에서 말한 대로 머리가 영특하고 지혜로우면 그들이 과학을 발달

시키게 되고 과학의 발전으로 우주세계를 향해 나아가게 된다는

인류(지구)역사를 알려 주고자 했던 성현들의 가르침이다.



포 도


조직을 의미한다. 한송이에 많은 열매 등이 달려 있어서 이것은 조직을 뜻한다.
집단, 조직, 국가,등을 의미하며 이런 문화를 알리기 위해서는 정비가

잘된 많은 조직들이 있어야 된다. (각 과일들도 각기 뜻이 있다.)
첫 번째 과일 줄이 개인의 성장과 조직구성을 의미한다면, 두번째 줄은

운동으로 문화를 바꾸어가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시금치


시금치는 道 를 구하는 마음을 지금 이 시간부터 주저하지 말고 행하라는 의미 입니다.



도라지


도(道)를 알아라는 뜻이다.
도를 알지 -> 돌아지 -> 도라지道(도,도) 我(나,아) 知(알,지)
(나를 알아가는 도를 말함)
고사리가 일이라면 도라지는 일의 목적을 나타낸다.
도를 알지 운동이다. (도를 알지=나를 알아가는 도)



콩나물


콩은 깨달음을 의미한다.
한알의 콩속에 두쪽으로 되어 있는 것은 도에는 음과 양이 있다는 뜻이고

이 콩에서 발이 나온 것은 도를 펼쳐지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콩나물에

잔발이 많이 달리면 道를 구하는 일심에서 다른 마음을 먹으면 안된다는

의미에서 콩나물에 잔발을 다듬어 주는 것이며 또한 콩나물에서 콩껍질을

벋기는 이유는 도의 본체가 어떻게 되어 있나를 살펴보라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고사리


이치에 닿는 높은 사고의식으로 일을 하라는 의미이다.
고사리는 하늘로 뻗어가는 기운의 모습을 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손의 모습과 흡사하다. 그래서, 고사리손 즉 일의 시작을 의미한다.
고사리(高事理)는 높은 이치가 담긴 일을 한다는 뜻이며 고사리의 모양은

하늘 세계로 기운이 피어 오르는 모습을 하고 있듯이 옛날 유물 또는 벽화에서

보아도 고사리 모양 문형이 많이 그려져 있다.
이것은 氣의 발생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숙주나물


숙주나물은 음식이 빨리 변하는 대표적인 음식입니다. 道를 구하는

마음이 숙주나물처럼 변할까 염려되어 경각심을 주기 위함입니다.

하늘 마음은 일시적이고 한순간 생각하는 작심에 불과할까 두려워 경계의

마음을 전해주는 것입니다.
도(道)는 일생을 바쳐서 얻어지는 것도 아니고 수많은 겁생을 통해 구해도

구해지기 힘들 정도의 인생사의 최고의 가치 기준입니다.







명 태

<A P <>


인류 진화를 의미함. (지구 최초의 생명은 바다에서 시작)
우리의 영은 하늘에서 왔고 우리의 육체는 땅에서 왔으며 땅에서 온

이 육체는 지구 최초에 기에서 미생물이 발전, 진화하여 어류, 육류로

진화 인간의 몸을 형성해 나왔음을 알려주는 성현들의 가르침이다.



문 어


도의 원리를 알려주는 것으로 깨달음 원을 닮은 머리와 문어발 10개는

천기의 흐름의 종류로서 천(天)간(干) 10干을 의미한다.
발에 달린 별 모양의 접착구(빨판)는 하늘의 별들을 의미하며 문어 발을 칼로

오려주는 것은 기운의 흐름을 표현할 문양이며 구름 연기 같은 기운이 피어나는

모습을 형상화 한 것이다.



오징어


원방각의 원리를 설명한다. (로켓을 의미함)
살아서 움직이고 먹물을 쏘면서 도망가는 오징어는 마치 로켓발사의

모습이며 발에 붙은 접착구(빨판) 역시 별을 의미한다.






탕 (天,地,人)


3탕을 많이 쓴다. 탕은 기본 되는 三탕 또는 五탕을 두며 삼탕은 天, 地, 人을

의미하고 五탕은 오행(五行)을 의미한다. 옛말에 빈곤함에 제사를 못 모실 경우라

하더라도 삼탕은 놓고 제를 올리라. 그래도 어려우면 정한수라도 떠올리라 하였다.
水는 하늘의 생명수이고 우주 근원의 초기 생명이다.
탕은 나열의 어, 육, 체로 되는데 우리 육체가 어류에서 진화하여 기류동물로

진화 발전하고, 농법을 이용하고 정착 농경 생활이 발달해 왔다는 간편한

우리의 역사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


떡에는 종류가 상당히 많다. 먼저 설 명절의 대표적인 가래떡에 대해서만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가래떡이란 혼의 성장세월의 의미이며 혼이란 뿌연색을 지니게 되기

때문에 혼백을 모시는 지방을 쓸때에도 뿌연 문종이에 쓰듯이 이 색깔과

유사한 색깔이 쌀(곡기)이며 곡기란(기운을 저장하고 있다)라는 의미다.

우리는 흔히 허기진다라는 말을 많이 하듯이 허기란 기가 허하다 기가

없다라는 의미인데 기가 비어서 허하면 곡기로 배를 채워야 기운이 되살아 난다.

가래떡은 혼의 세월이 긴 세월을 통해 성장한다는 의미를 전하기 위해

가래떡을 길게 뽑는 것이다.
세월 흐름을 하루 또는 한해를 표현한 것이 가래떡을 썰어서 만든 떡이며

이 떡꾹을 먹게 되면 나이를 먹는다고 하는데 나이란 세월을 뜻하는 것으로

그 세월은 혼의 성장 세월이다.